이번 제 3회 기사 실기시험을 봤다
이제 과목명도 달라지고 내용도 좀 달라진다해서 조마조마했는데 ㅠㅠ
가채점해보니 85점 ㅎㅎㅎ 틀려도 60점은 거뜬히 넘을 것 같아서 안심하고있다..
다른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되고자 후기를 남긴다
우선 나는 전문대학 2년제를 졸업했고 컴퓨터 전공해서 재학 중에
C언어, 자바 프로그램 코딩하는 것과 데이터베이스 실습을 위주로 배웠다. (이론은 거의 안함) 아 컴퓨터개론도 살짝 배웠다.
그래서 실기의 알고리즘 순서도를 이해하는데에는 좀 빨랐고,
데이터베이스의 SQL부분은 살짝 훑어만 보는 느낌으로 공부했고,
필기의 전자계산기구조의 용어?들이 낯설지않은 느낌으로 공부했다.
교재는 필기 실기 둘다 시나공책을 샀당
아 그리고 좀 말하고싶은게 다른사람들은 어떻게 3주공부하고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합격하는지 당최 모르겠다
다른 후기들 살펴보면 막 3주 2주 이렇게 공부하고 붙은건 그 사람의 기초지식이 있으니까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배웠는데도 모르는 나는 필기 1달 반, 실기 2달 준비해서 붙었다.
준비하려는 사람들은 제발 시간 여유를 넉넉히 두고 계획을 세워서 공부했으면 좋겠다.
<필기>
솔직히 필기는... 문제은행식으로 나와서 요약만 보고 기출만 풀어도 된다.
필기는 그 유명한 이기쥬히님의 요약집과 문제집을 다운받아 풀었다.
시나공 책에는 너무 자세하고 안나올것같은 내용들도 섞여있어서 공부할 양이 너무 많았다..ㅜㅜ
시나공 필기책은 비추 ㅠ
* 기출 풀때는 틀린 문제를 한번씩 보고 따로 정리해둬야한다. 나는 정말 대충 오답노트를 썼는데,
그냥 한글파일 열어서 틀린문제 복사, 붙여넣기. 설명 복사, 붙여넣기만 하고 나중에 한번씩 둘러보는걸로 끝냈다.
근데 이게 진짜 큰 도움이 되더라..
1. 데이터베이스, 3. 운영체제, 4. 소프트웨어공학, 5. 데이터통신
이 과목들은 요약집을 보고 이해하고 나중에 문제풀면서 기억하고 외워가면 되는거라 3번 읽고 바로 CBT로 기출문제 풀었다.
기출에서 틀리는 문제나 개념은 퀴즐렛 사이트를 활용해서 외워서 기억하고 기출 계속 풀었다.
퀴즐렛 사이트 : https://quizlet.com/latest
CBT 사이트 : https://www.comcbt.com/cbt/index2.php?hack_number=29
퀴즐렛은 단어/뜻을 암기하기 좋게 만들어둔 사이트인데 하나 예를들자면
개념 : HRN : SJF을 보완하기 위한 기법, 우선순위를 정함,
우선순위 = (대기시간+서비스시간)/서비스시간, 계산이 크면 우선순위가 높음, 대기시간이 길면 우선순위가 높아짐
단어 : HRN : 000을 00하기 위한 기법, 0000를 정함,
0000 = (0000+00000)/00000, 계산이 크면 0000가 00, 0000이 길면 우선순위가 000
뜻 : SJF, 보완, 우선순위, 우선순위,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서비스시간, 우선순위, 높음, 대기시간,높아짐
..이렇게 쓰고나니 나만 알아볼 수 있게 공부한것같네
나는 저렇게 단어에 빈칸처럼 0으로 글자를 없애고, 중요한 핵심단어들만 뜻으로 적어가며 외웠다.
어느정도 외워져서 기출을 풀었다. 처음엔 점수가 막 40점 이렇게 나왔는데
왜 오답인지 확인하고, 다시 외우고, 시간 텀을 두고 100점 맞을 수 있을때까지 기출만 푸니까 어느정도 점수 나왔다.
2. 전자계산기구조
나는 그래도 내 전공분야이고.. 해서 금방 쉽게 취득할 줄 알앗는데 전자계산기구조에서 막혔다.
시나공책을 펼쳐서 읽어봐도, 요약집을 봐도 이해가 안되길래 유튜브의 도움을 받았다
정말정말 정보처리기사 준비하면서 가장 큰 도움을 주신 에듀온의 유수 선생님!!!!
진짜 설명을 너무 잘해주신다. 아래 링크 들어가면 왼쪽에 동영상있고, 오른쪽에 교재 다운로드 있다.
나는 교재 출력해서 동영상 보고, 이기쥬히 문제집 풀면서 공부했다.
http://www.eduon.com/uclass/uclass_view/15/
위에 4과목 잘해도 전자계산기 구조에서 자꾸 점수가 구멍나길래
따로 한글파일에 정리도 해가며 개념을 이해했다.
그리고 나서 문제푸니 점수가 좀 괜찮게 나오더라 ㅎㅎ
<실기>
실기는 더 고급진 필기 같은 느낌이다.
무엇보다 4지선다에서 선택하는게 아닌 써야하니까 ㅠㅠ 더 부담스럽더라
실기는 유수 선생님의 인강, 교재 + 시나공 교재가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올려둔 기출문제들을 다운받아 2010년 기출부터 쭉 풀었다.
진짜!!! 기출 오답이 많이 도움이되었다. DB는 문제는 다르게나오지만 개념이 계속 반복되고,
업무프로세스, IT신기술동향, 전산영어는 문제 자체가 반복된게 조금 있었다.
시험보기전에 기출 오답 모아놓은걸 한번 본게 큰 도움이 됬다 ㅠㅠ
1. 알고리즘
나는 여태 코딩만 했지 순서도는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준비하면서 처음 접해봐서 낯설었다.
손으로 풀고, 디버깅하는것도 너무 복잡했다 ㅠㅠ.
무엇보다 흐름은 따라갈 수 있지만 유클리드 호제법, 소수 구하는 방법 등등
문제를 푸는데 필요한 부가적으로 수학적인? 부분이 필요해서 알고리즘도 인강 봤다.
그래서 유수 선생님 교재를 사용했고, 시나공 알고리즘 파트는 2번인가 펼쳐봤다..(돈아깝 ㅠ)
필기의 전자계산기 구조와 마찬가지로 한글파일에 정리해가며, 개념 이해해가며 문제풀었다.
http://www.eduon.com/uclass/uclass_view/11/
* 이건 팁인데,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디버깅을 해야하는데
나는 나에게 편한대로 디버깅표를 만들었다.
예를들어 아래 사진의 왼쪽 순서도를 디버깅할 때, 교재에는 오른쪽과 같이 디버깅을 했는데 보면 2번나오고 1번나오고 3번이 나온다.
나는 교재처럼 하는게 너무 헷갈려서 그냥 순서도에 적힌 내용을 다 적기로했다
맨 위에 순서도 내용을 다 적고, 밑에 값을 순서대로 적으니까 훨씬 보기 편했다
2.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도 실습위주로 해서 MSSQL에 SQL문을 적고 결과를 보는건 너무 익숙한데 이론이 너무 부족했다.
그래서 DB도 인강보며 한글파일로 정리하고, 기출문제풀고 했다.
특히 DB는 17년도에 바뀐 이후로 주관식으로 적는 문제가 좀 나온다고해서.. 이것도 퀴즐렛을 이용해서 외웠다.
DB는 외우는데 특히 좀 애를먹은게, 시나공 문제풀면서 보니까 막 이상현상의 정의를 쓰시오. 이런 예상문제를 보니까
겁먹어서 단어를 보고 뜻을 적고, 뜻을 보고 단어를 적고 두번을 반복해서 외우려고 하다보니까 양이 너무 많더라....
만약
단어 : 이상 anomaly
뜻 : 데이터 중복으로 인해 릴레이션 조작 시 예상하지 못한 현상이 발생되는 것.
단어랑 뜻이 위에거면, 뜻을 보고 단어를 적는건 정말 확실히 해놓고, 단어를 보고 뜻을 적는건 정말 특별한것들만 했다.
예를들어 음.. DB 정의 ISOS나, DB 특성 RCCC, 트랜잭션의 특성 ACID, SQL문.. 이런거는 칠판에 직접 쓰면서 외웠다.
근데 백지에 안보고 그냥 개념정리하듯 머리속에있는거 끄집어내면서 써보니까 잘외워지더랑
퀴즐렛 사이트 : https://quizlet.com/latest
http://www.eduon.com/uclass/uclass_view/12/
3. IT신기술동향, 4. 업무프로세스, 5. 전산영어
이 과목들은 시나공 책을 좀 봤다. 시나공은 A개념 (몇회출제, 몇회출제) 이런게 있어서 어떤게 자주 기출에 나왔는지 확인하기가 쉬웠다.
IT신기술동향, 업무프로세스는 퀴즐렛의 힘을 빌려서 외웠다. 이 두과목은 데이터베이스처럼 단어-뜻 둘다 안외워도 되고,
뜻을 보면 단어를 알 수 있게 기억하면된다. 그리고 약어가 굉장히 많은데 DSS이면 Decision Support System 이렇게 전체 단어를 외우는게 더 기억에 남더라.
업무프로세스는 뜻이랑 단어랑 좀 매치가 안되서 애를 먹었다 ㅠ
얘는 좀 답이없어서 뜻이 좀 비슷한 것들끼리 모아서 외웠다.
뜻이 유일한 것/비슷한 것(시스템에 관련된 것(BI, PI, SIS..), 제품에 관련된 것(PLM, PDM..), 계획에 관련된 것(EA, ISP..), 거래에 관련된 것(B2B, B2C..)....등등으로)
IT신기술동향이랑 정보보안은 기출에 나왔던것만 외우고, 기출 풀며 오답정리하면 다 외워진다. 그냥 외우기.
전산영어는 아예 외우지도 않고 바로 기출풀었다. 기출 풀고 오답정리하다보니까 전산영어는 문제를 그대로 비슷하게 내서, 그런것들을 외우면된다. 막 반복적으로 나오는 AR, Multimedia, Database, VoIP..등등 아래처럼 특징을 잡아서(?) 지문을 기억하면 쉽다
( VoIP ) is a family of technologies, methodologie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transmission techniques for the delivery of voice communications and multimedia sessions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s.
인터넷과 같은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신과 멀티미디어 세션을 구현하는 전달 기법, 통신 프로토콜, 방법론, 기술의 집합이다.
delivery of voice, internet protocol networks 나오면 VoIP!!!이렇게. 근데 전산영어가 배점이 크지 않아서.. 아예 넘겨도 되긴하는데 나는 다른 기출 풀면서 같이 있으니까 한번씩 풀어보면서 기억했다
마아아아아악 써놨지만 다른사람들이 이걸 볼까 싶긴하다 ㅋㅋㅋㅋㅋ
지극히 내가 개인적으로 공부를 이렇게 했다는 것을 적어놔서 남들한테 도움이 될려나 모르겠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당!
-------------------------------------------------------------------------------------------------
헤헤 합격했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면허 1종보통 취득 총정리!(운전학원) (1) | 2021.10.17 |
---|---|
20년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합격후기 (0) | 2021.10.16 |